박우디의 개발여행 19

06. Knowledge Based AI #1

KBAI (지식기반 AI)는 인간이 지식을 어떻게 표현하고 사용하는지를 Modeling 하는 시도에서부터 시작된다.KBAI가 강조하는 3가지 요소 1. Learning(학습) 2. Memory(기억) 3. Reasoning(추론)는엄밀히 따져보면 Cognition System의 주요 구성요소 이기도 하다.이는 KBAI가 결국 Cognition System의 한 형태가 된다는 관점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참고로, Cognition System은 인간의 인지 과정을 모방하는 AI 시스템을 뜻한다.즉 KBAI는 훌륭한 Cognition System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라 볼 수도 있겠다. 훌륭한 KBAI 구현을 위해서는 아래 8가지의 주제에 대해 염두해 두는 것이 좋다. 1. Fundamentals..

09. 배터리의 CC충전 & CV충전

충전을 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Source단 전압이 Load단 전압보다 높아야 한다. 이는 기본이다. 따라서 충전기(EVSE)가 전기차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EVSE의 전압이 기본적으로 전기차 배터리 전압보다 높아야 한다. 충전방식에는 2가지가 있는데, CC(Constant Current)충전과 CV(Constant Volatge)충전이다. 1. CC충전 CC충전은 배터리를 고정 된 전류로 충전해 주는 것이 목표이다. 즉, 10A로 CC충전한다고 하면 고전압배터리 전압에 상관없이 계속 10A가 충전된다는 뜻이다. 충전전류 = (EVSE전압 - 배터리전압)/(EVSE&배터리&충전케이블의 내부저항) 이기에, CC충전을 위해서는 고전압 배터리 전압이 상승되는 만큼 충전기 전압도 상승 되야한다. 2. C..

04. 컴파일 언어 vs 인터프리터 언어

우리가 다루는 모든 Programming Language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된 고급언어이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저급언어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01. 컴파일 언어는, Compiler컴파일러를 이용하여 개발자의 소스코드 전체를 한번에 저급언어로 변환한다. 이 과정에서 소스코드내에 오류가 있다면 컴파일에 실패하여 결과를 아예 볼 수가 없다. 변환이후 실행을 위해서는 또한 추가적인 과정(Linking)이 필요하다. 02. 인터프리터 언어는, Interpreter인터프리터를 이용하여 소스코드를 한줄 씩 차례대로 저급언어로 변환한다. 따라서 소스코드내에 오류가 있다고 해도, 오류가 있는 코드라인 바로 직전까지는 정상적으로 변환한다. 특히, 추가적인 과정없이..

08. 전기차배터리의 병렬 & 직렬연결 특성

배터리의 병렬 및 직렬 연결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배터리의 특징을 나타내는 수치로는 대표적으로, 1) Capacity(Ah) 2) Energy(Wh) 3) Power(W) 가 있다. 3개의 18650 배터리를 병렬 및 직렬 해 보며, 위 특징들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자. 1. 병렬연결 ​ 아래와 같이 평균 사용전압이 3.7V, 용량이 2.6Ah인 배터리 3개를 병렬연결하여 하나의 배터리 시스템으로 만들었다. 그럼 이 새로운 배터리시스템의 평균 사용전압은 3.7V 용량은 2.6 x 3 = 7.8Ah가 된다. ​ 용량이란건 전지가 가지고 있는 전하량을 의미하는데 쉽게 1시간(hr)동안 사용가능한 전류의 양으로 표현한다. 원래 하나의 배터리가 1시간에 2.6A씩 출력이 가능했으니, 아래 배터리시스..

03. Build batch files

Batch File배치파일 이란, 명령 프롬포트 혹은 Shell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하나로 묶어놓은 스크립트 파일이다. 배치파일을 실행하면, 명령 프롬프트는 파일 내 각 Line들을 차례대로 실행한다. 따라서 커맨드창에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명령들이 있다면, 배치파일을 이용하여 자동화 한다던지 복잡한 여러 명령들을 손쉽게 처리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컴파일 언어 빌드시에도 유용하게 사용되며, 이 경우 보통 3개의 배치파일을 이용한다. (Window기반 플랫폼) 1. make.bat - 소스파일들을 컴파일 + 링크하여 실행파일이나 라이브러리 생성 - 주로 Makefile과 함께 사용됨 2. build.bat - 기본적으로 make.bat과 유사 - 컴파일 + 링크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Ful..

07. 전기자동차 절연저항 측정원리 - 2탄

지난 절연저항 측정원리 1탄에서 다루지 못했던 내용을 마무리 해보고자 한다. 잠시 복습하자면, ​ 절연저항 측정회로를 통해 실제로 절연을 깨가며 절연저항에 걸려있는 전압을 측정했고, 이 측정 전압값을 토대로 절연저항 값을 계산해 낸다 했었다. ​ 기억이 나지 않거나, 이해가 확실히 되지않았다면 지난번 Post를 한번 더 보는것을 추천한다. [박우디의 개발여행/전기차 이야기] - 06. 전기자동차 절연저항 측정원리 - 1탄 06. 전기자동차 절연저항 측정원리 - 1탄 아주 재미있고도 신비로운 주제를 다뤄보려 한다. ​ 지난시간에 전기자동차에서 말하는 "절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늘은 절연의 정도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절연저항" 값을 전기자동차 thewoodypark.tistory.com 오늘은 절연을..

02. TCP/IP Server & Client 관계

TCP/IP의 Server & Client는 떨어져 존재하는 서로다른 컴퓨터이다. Client는 기본적으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주체이며, Server는 Client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소개팅을 앞 둔 남녀로 보이기도 한다. ( ? ) 이 둘의 약속장소는 Network address로 결정이 되며, 여기에는 hostname, port number, ip, protocol 등등이 적힌다. Network address는 즉 이 둘의 만남의 장소가 되는 것이다. socket( ) 함수는 각자가 서로를 만나기 위해 문을 박차고 나가는 상황이 된다. 아직 약속장소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밖으로 나서긴 했지만 어디로 가야할지는 모르겠다. 이 때 이 둘에게 약속장소, 즉 Specific한 Network ..

05. 여러개 저항의 직렬연결

실무에 활용되는 전기전자회로를 보면 저항 여러개를 직렬로 구성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특히 고전압을 다루는 전자회로의 경우에 이런 사례가 많은편이다. ​ 이를테면 1M옴 하나의 저항을 달면 해결될 회로에, 100k옴 10개를 달아두는 것이다. ​ 1개로 사용가능한 부품을 10개로 늘려서 쓰니 부품값도 그만큼 더 많이 들테고, 안그래도 좁아터진 PCB자리도 차지하게 되는 이런 설계를 왜 하는걸까? ​ 저항 한개를 써도 될 것 같은 Path에, 여러개의 저항을 직렬로 달아두는 경우가 있다. ​ 이는 저항의 허용전력(Rated Power)과 연관이 된다. 일반적인 SMT type의 저항은 그 허용전력이 1W를 넘지 못한다. 내가 자주 사용하던 1608 size 저항은 0.125W 수준의 rated power..

04. 인덕터의 역할

인덕터는 엄밀히 따지면 코일 Coil 이다. 다만, Coil 의 역할이 전자/기계 공학적으로 너무나 많기 때문에 전자회로에서 사용되는 Coil 소자는 인덕터 inductor 라고 Specific하게 이름을 붙였을 뿐이다. ​ 전자회로에서 사용되는 Coil은 일반 inductor를 비롯하여, Bead, Choke filter, Transformer 정도가 있다. 전부 inductor라고 불러도 무방하나, 가능하면 사용하는 역할에 맞춰 이름을 불러주는 것이 관리하기에도 타 엔지니어와 소통하기에도 좋다. ​ 오늘은 수많은 다른 종류의 inductor는 잠시 잊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부르는 기본 인덕터의 역할을 실제 활용에 초점을 두어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 ​ 인덕터를 정의할 수 있는 표현은 수많이 있겠..

06. 전기자동차 절연저항 측정원리 - 1탄

아주 재미있고도 신비로운 주제를 다뤄보려 한다. ​ 지난시간에 전기자동차에서 말하는 "절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늘은 절연의 정도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절연저항" 값을 전기자동차 시스템에서 어떻게 측정하는지 살펴보겠다. ​ 전기자동차에 실제로 절연저항이란 저항이 달려있는건 아니다. 누설 전류를 기반으로 "이 정도 저항이 달려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가정하는 미지의(Unknown) 저항이다. ​ 전기자동차에서 이 미지의 저항,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 ​ 먼저 복습을 해보자면, ​ 절연이란 전기자동차내에 고전압(HV)배터리 영역과 저전압(LV)배터리 영역을 구분 짓는 것 이었다. 여기서 고전압 영역이라 하면 배터리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