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26262 2

04. 기능안전의 적용

iso26262를 준수하여 개발을 진행하면, 기능안전을 위한 80~150개의 기술 방법론이 자연스럽게 적용이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iso26262를 준수하는 개발과정은 어떻게 진행이 될까?​ ​ 1. 제일먼저 수행되는 활동은, item(boundary)정의 이다. 내가 차량 내에 개발할 item은 무엇이며, 그 item의 개발 Boundary는 어떻게 되는지 구체적으로 정의해주어야 한다. ​ iso26262에서 정의하는 item의 범주는 기본적으로 차량 내 전기/전자 제어시스템(E/E System) 이다. 보통 E/E System을 item으로 정의하라고 하면 대부분 Controller만을 떠올리곤 한다. 그러나, E/E라고 한다면 controller에 연결 된 wire harness, 이를통해 유기..

03. 기능안전(Functional Safety)의 개념

'기능안전'은 누군가는 지겹도록 많이 듣는 용어일 수도 있겠지만, 대다수에겐 낯선 개념일 수 있다. ​ 산업이 발전하면서, 우리가 잘 알고있는 '안전(Safety)'이라는 개념이 생겼다. 그리고 산업분야에서 이 개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적용하기위해, ISO(국제표준기구)와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서 '안전규격'이란 걸 만들기 시작했다. ​ '기능안전(Functional Safety)'의 근원은 이 ISO/IEC 안전규격에서 부터 시작된다. ​ 1990년대, 산업에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전기전자 제품이 쏟아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기존의 안전규격으로는 전기전자 시스템 및 제품 관리에 한계를 느끼게되었다. 이에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개념의 안전규격 즉 '기능안전'이 탄생하게 되고, 이를 규격화 시킨것이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