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를 보며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는 Event는 당연 화재와 감전이다.
실제로도 Filed에서도 관련된 사고들이 끊임없이 발생한다.
전기자동차의 화재와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개발 중에 필수적으로 염두해야하는 개념이 바로 오늘의 주인공 "절연(Isolation)" 이다.
고전압 배터리팩(대부분 리튬이온배터리)은 전기자동차의 핵심이며 동시에 가장 큰 위험요소이기도 하다.
이 위험요소를 말 그대로 격리시키는 것이 절연 Isolation 설계이다.
절연설계의 목적은 크게 아래 3가지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1. 감전방지
- 운전자 혹은 정비사가 고전압 배터리에 감전되는 것을 방지
2. Noise방지
- 고전압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Noise가 차량 내 다른 제어기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
3. 차량 내 다른기기 손상방지
- 차량 시스템이 고전압 배터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
아래 전기자동차를 만지고 있는 사람을 가정해보자.

정말 극단적인 가정을 해본다면!
절연이 깨져있는 경우 혹은 절연이 없는 상황에서는
아래와 같이 Closed Loop가 형성되어 사람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상황이 도출될 수 있다.

저 초록색은 아마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설연설계를 했다면 결과는 어땠을까?
배터리팩을 isolation시킨다면 기본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기 때문에 위와같은 Closed Loop형성이 불가하다.


절연(isolation)시킨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GND를 분리시키는 것이다.
우리가 보통 다루는 GND(earth GND)외에
전혀 다른차원의 세상에 새로운 GND(isolated GND)를 형성시켜놓는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ㄴ다.
GND가 다르기 때문에 접촉이 된다고해도 전류가 흐를 길이 없다.
절연설계의 또 다른예로 고전압 배터리팩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살펴보자.
고전압배터리 상태를 측정해야하기 때문에 BMS는 어쩔수없이 고전압을 본인의 내부로 유입시켜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유입된 고전압은 당연히 BMS의 동작을 방해하거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럴때 필요한건! 또다시 절연(isolation)이다.

BMS동작을 위한 구역(빨간구역)에는,
CPU라고 할 수 있는 Micro Controller Unit(MCU) 여러 Power Regulator 및 통신 IC들이 있다.
이 구역의 동작을 지원해주는 Power Source는 차량의 Bonnet에 있는 12V Aux Battery 이다.
그리고 고전압배터리 정보를 취득하는 구역(초록구역)은 고전압배터리,
즉 자기 자신을 Power Source로 활용한다.
전기자동차 설계시 이렇게 고전압배터리를 활용하는 구역과 Aux Battery를 사용하는 구역을 확실히 절연시켜서
혹시라도 고전압배터리가 Aux Battery 영역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한다.
그럼 이런 의문이 들 수 있다.
"그래서.. 전기적 절연은 어떻게 하는거야? GND를 어떻게 분리하는거야?"
이 부분은 기회가 된다면(..과연?) "HW개발이야기"에서 포스트를 해보도록 하겠다.
절연이란것은 이상적으로 무한대의 저항을 놓는것과 같다.
즉 A와 B를 절연시켰다는 것은 A와 B사이에 무한대의 저항이 놓여서 전류가 흐를 수 없다는 것과 같다.
따라서 차량과 고전압배터리를 절연시켰다는 것은
차량과 고전압배터리 사이에 무한대만큼의 저항이 놓인 것이라고 이해해도 무방하다.
이 저항 값을 "절연저항(isolation resistance)"라고 부른다.
영어표현으로 Insulation resistance라고도 하니 참고.
전기자동차 시스템은 꾸준히 이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절연이 안전하게 형성되어있는지를 확인한다. (㏁단위)
그래서 절연저항이 기준치보다 낮게 측정된다면 곧바로 위험신호를 보내 사고를 방지한다.
절연저항을 어떻게 측정하는지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트를 통해 살펴보겠다.
'박우디의 개발여행 > 전기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전기자동차 절연저항 측정원리 - 2탄 (4) | 2023.02.16 |
---|---|
06. 전기자동차 절연저항 측정원리 - 1탄 (7) | 2023.01.29 |
04. 기능안전의 적용 (0) | 2023.01.25 |
03. 기능안전(Functional Safety)의 개념 (0) | 2023.01.23 |
02. 수소전기차 (0) | 2023.01.23 |